본문 바로가기
경제 & 투자/재테크 & 투자 전략 📈

트럼프 행정부의 스테이블 코인+국채 전략?

by sunnydreams 2025. 4. 4.
728x90
반응형

Q: 달러와 1:1 스테이블 코인 육성해 미국채 사게 한다는 트럼프 행정 계획이 있다는데 그렇다면 어떤 스테이블 코인을 투자해야 할까요?

A:트럼프 행정부가 구상 중이라는 "달러와 1:1 스테이블 코인 육성 → 미국 국채 매입 유도" 전략은 디지털 달러화 패권을 강화하고, 미국 국채 수요 기반을 확충하며,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금융질서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 의도로 해석. 이 전략이 구체화된다면, 특정 스테이블 코인들이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 입장에서 주목할 만한 스테이블 코인을 다음과 같은 기준과 분석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지금 주목해야 할 스테이블 코인은 무엇인가?

최근 암호화폐 업계와 글로벌 거시금융 시장에서 동시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주제가 있다.
바로 **트럼프 캠프가 구상 중인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미국 국채 수요 확대 전략"**이다.

이 시나리오가 실현된다면,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는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미국 경제 안보 전략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어떤 스테이블 코인에 주목하고, 어떻게 투자 관점을 세워야 할까?


📌 트럼프 구상: 디지털 달러화 패권 + 국채 수요 확대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의 측근들이 언급하는 디지털 금융 전략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 육성
  2.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미국 국채(Treasury Bonds) 매입 유도
  3. 중국과 EU의 디지털 화폐 패권 경쟁에서 미국 우위 확보
  4. 글로벌 외환 보유 수단으로서의 디지털 달러 채택 확대

이는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대신 민간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디지털 금융 전쟁의 무기로 삼겠다는 의도다.
바로 이 지점에서, 특정 스테이블 코인들이 정책 수혜 자산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커진다.


🔍 정책 수혜 조건: 어떤 스테이블 코인이 유리한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성을 기준으로 투자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스테이블 코인이 주목 대상이다:

평가 항목수혜 요건
💵 달러 페깅 여부 미국 달러와 1:1 연동
🏦 준비금 자산 미국 국채 및 현금 기반의 완전 담보 (Fully backed)
🇺🇸 발행사 국적 미국 기반 기업일수록 규제 및 정치적 수혜 가능
🔍 투명성 회계 감사, 준비금 공개, 규제기관 협력
🌉 DeFi 연동성 온체인 국채 상품 등 확장성 확보

💡 주요 스테이블 코인 비교 분석 (2025년 4월 기준)

스테이블 코인발행사준비금 구성국채 편입특징 요약
USDC Circle (미국) 현금 + 단기 미국 국채 100% 미국 규제 수혜 가능성 가장 큼, 높은 투명성
DAI MakerDAO (탈중앙화) 암호화 자산 + RWA 국채 온체인 국채 수익화 모델 확장 중
USDT Tether (홍콩) 국채 + 현금 + 상업어음 유동성 1위, 규제 리스크 존재
FDUSD First Digital 현금 위주 Binance 기반 유통, 미국 정책과 거리 있음
PYUSD Paxos + PayPal 현금 + 국채 사용처는 한정적이지만, 규제 친화적

✅ 투자 우선순위 분석

1. USDC (Circle) — 정책 수혜 1순위

  • 발행사 Circle은 미국 금융 규제당국과 직접 협업 중.
  • 준비금 100%가 단기 미국 국채 및 현금성 자산으로 구성됨.
  • 트럼프 행정부가 민간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제도화할 경우, 대표 플랫폼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큼.
  • DeFi 및 TradFi(전통금융) 양쪽에서 모두 확장 가능성 확보.

💬 현재 시가총액은 약 $30B로 예전보다 줄었지만, 이는 정책 수혜 기대감이 반영되기 전의 저평가 구간일 수 있음.


2. DAI (MakerDAO) — 탈중앙화지만 현실 친화적

  • 온체인 DAO 기반이지만, 최근 RWA(Real World Asset) 전략을 통해 미국 국채 편입 비율을 확대 중.
  • MakerDAO의 자회사 Monetalis를 통해 T-bill 기반 수익화 진행.
  • 트럼프 정부가 탈중앙화 구조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경우, 정책 수혜 후보로 떠오를 수 있음.

💬 단점은 탈중앙화 구조상 정책 직접 지원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


3. USDT (Tether) — 유동성 1위지만 정치적 리스크

  • 현재 전체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의 60~70% 이상을 점유.
  • 국채 포함은 되어 있으나, 발행사가 홍콩에 위치해 미국 규제 수혜 가능성은 낮음.
  • 회계 투명성, 감사 이슈 등으로 인해 장기적 리스크 요인 존재.

📈 투자 전략 제안: 스테이블 코인 2단계 접근

🔹 1단계: 포트폴리오 구성 시 USDC 비중 확대

  • 법정화폐 연동 + 정책 우호성 + 수익화 구조 확보
  • 국채 금리에 연동된 디지털 MMF(Money Market Fund) 형태의 상품 출현 가능성 높음

🔹 2단계: DAI나 RWA 기반 온체인 상품 모니터링

  • MakerDAO의 USDC-RWA-Treasury 구조는 트럼프 전략과의 궁합이 맞음
  • 장기적으로는 “T-Bill on DeFi” 생태계의 기반 자산으로 발전 가능

🌐 거시적 시사점: 미국 국채의 디지털 채널화

  • 미국 정부는 향후 스테이블 코인을 국채 판매 채널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 국채 수요 기반의 분산화를 의미함.
  • 결과적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단순히 환율 안정성이 아니라 이자 수익+정책 수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구조로 진입하게 된다.

✍️ 결론: 지금은 포지션 구축의 시간

트럼프 캠프의 스테이블 코인-국채 전략은 단순한 공약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만약 이 전략이 현실화된다면, USDC는 명백한 정책 수혜 1순위 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고, DAI와 같은 온체인 자산 또한 새로운 기관 투자의 문을 열게 될 것이다.

🔹 지금은 이런 변화에 미리 대응할 수 있는 준비 구간이다.


이 콘텐츠가 유익했다면 댓글이나 공감, 공유 부탁드립니다!


📎 추천 읽을거리

728x90
반응형